You are currently viewing 아스코리비나아제(Ascorbinase)의 효과와 포함된 채소

아스코리비나아제(Ascorbinase)의 효과와 포함된 채소

아스코리비나아제(Ascorbinase)란

아스코리비나아제 (Ascorbinase) 는 비타민 C인 아스코르비크산(Ascorbic acid)을 분해하는 효소입니다. 아스코르비크산은 많은 과일과 채소에서 발견되는 비타민 C의 형태이며, 강력한 항산화 작용과 면역 시스템 강화에 기여합니다.

오이와 당근은 비슷한 양의 비타민 C를 함유하고 있지만, 오이를 자르면 아스코리비나아제라는 효소가 생성되어 비타민 C가 파괴됩니다. 이러한 효소는 공기와 접촉하거나 음식을 자르는 등의 상태에서 일어날 수 있습니다. 비타민 C는 물에 녹는 성질이 있어서, 자르기나 가열에 민감하게 반응하게 됩니다.

하지만 다행히도 아스코리비나아제는 산에 약합니다. 즉, 약간의 산성 물질, 예를 들면 식초 등을 사용하여 중화시키면 효소의 활성을 약화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오이와 당근을 같이 요리할 때 오이를 먼저 식초와 함께 버무려 준다면 무의 비타민 C 파괴를 어느 정도 방지할 수 있습니다.

비타민 C는 체내에서 생합성되지 않기 때문에 음식을 통해 섭취해야 합니다. 영양소를 최대한 보존하며 맛있는 요리를 즐기기 위해 올바른 조리법과 신선한 식재료를 활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스코리비나아제(Ascorbinase) 포함된 식품은 어떤게 있을까?

오이

아스코리비나아제가 들어가 있는 대표적인 채소입니다. 오이를 자를 때, 비타민 C를 파괴할 수 있으므로 조리 시 식초와 함께 버무려서 무의 비타민 C 파괴를 어느 정도 방지할 수 있습니다.

오이
Pixabay로부터 입수된 ❤ Monika 💚 💚 Schröder ❤님의 이미지 입니다.

브로콜리

브로콜리에도 아스코리비나아제가 존재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브로콜리의 비타민 C 함량이 오이보다 더 높기 때문에 그렇게 큰 문제가 되지는 않습니다.

브로콜리
Pixabay로부터 입수된 Silvia님의 이미지 입니다.

양파

양파도 일부 종류에 아스코리비나아제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양파도 비타민 C 함량이 높기 때문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양파
Pixabay로부터 입수된 1195798님의 이미지 입니다.

당근

당근에도 아스코리비나아제가 들어가 있어 오이와 함께 요리할 때에도 주의가 필요합니다. 하지만 당근 또한 비타민 C 함량이 높아서 큰 문제는 없습니다.

당근
Pixabay로부터 입수된 jacqueline macou님의 이미지 입니다.

    물론 이러한 채소들은 식사에 포함되어야 하는 중요한 식재료이며, 조리 시 식초와 같은 산성 물질과 함께 사용하여 비타민 C 파괴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건강한 식단 구성을 위해서는 다양한 채소들을 함께 섭취하고 영양소를 최대한 보존할 수 있는 조리법을 활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영쓰 코멘트

    같이 섭취를 한다고해서 문제가 되는 조합은 아니고 다만 영양소적인 면에 있어 서로 함께 섭취했을때의 효율성에 대해서만 주의하면 됩니다.

    This Post Has One Comment

    답글 남기기